시편 1:1~6, 복 있는 사람
1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 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함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 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들지 못하리로다 6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말씀 묵상을 돕는 글】
오늘부터 시편 1편부터 순서대로 말씀을 묵상하려고 합니다. 시편 1편은 ‘행복한 사람의 삶’, ‘누가 행복한 사람이냐?’에 대한 시입니다. 여기서 ‘복’은 종교적인 의미에서 ‘복, 축복’을 의미하는 ‘brk’가 아니라 행복을 나타내는 ‘asr’(아쉬레)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하나님의 복을 받은 사람이냐에 대한 근본적인 복의 본질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이미 하나님의 복을 받은 사람으로서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지를 묻는 것입니다.
먼저 1절을 보면,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라고 말합니다.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악을 꾸미는 자리’에 참여하지 않는 말인데, ‘악인들’은 ‘하나님의 율법을 무시하고 살아서 성전 출입이 금지된 제 멋대로 사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이들이 꾸미고 생각하는 것들은 필연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거스르는 일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죄인들’은 ‘주어진 계명이나 말씀을 구체적으로 범하는 자들’을 나타내는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않는 것’은 ‘죄인들을 본받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오만한 자들’은 ‘자기를 절대화하여 남을 비웃거나 무시하는 사람, 하나님을 모욕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현대인의 성경]에는 ‘하나님을 조롱하는 자들’로 번역하였습니다.
이들은 처음에는 권유(꾀)로 시작해서 점점 구체적인 행동(길)으로 발전하고 나중에는 자리(모임)까지 나아가게 된다고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처음에는 작은 유혹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악으로 발전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들을 모두 복수형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그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살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들과는 달리 2절을 보면,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라고 말합니다. 1절에 나오는 사람들이 행복의 길과는 거리가 먼 모습이었다면 2절에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행복한 사람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야로 묵상하는도다’라는 것은 단순히 시간적인 의미로 밤과 낮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기쁠 때든 슬플 때든, 형통할 때든 형통하지 않을 때든, 평안할 때든 재앙의 때든 언제, 어떤 상황이든지 말씀을 묵상한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말씀 앞에서 한결같은 사람을 나타내는데, 사실 여기에는 두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하나님의 말씀을 즐거워하기 때문에 밤낮으로 묵상할 수 있다”고 말할 수도 있고, “밤낮으로 묵상하다보니까 말씀의 의미를 깨닫고 즐거워하게 된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해석하든 상관없이 분명한 것은 이 사람의 마음에는 “하나님의 말씀”이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렇게 1, 2절에서 행복한 사람이 적극적으로 살아야 하는 삶과 피해야 할 모습에 대해 말씀했다면, 3, 4절에서는 대조적인 두가지 상징적인 모습이 나오는데, 먼저 3절에는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라고 말합니다. 여기에 나오는 ‘시냇가’는 관개수로가 있는 곳을 의미하는데, 팔레스틴 지역에는 비가 올 때만 시냇가가 생기는 ‘와디’라는 지역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곳은 비가 그치면 즉시 물이 사라져 더 이상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시냇가’는 언제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관개수로가 갖추어진 곳을 나타냅니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물이 마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곳에 심겨진 나무는 철을 따라 열매를 맺고 잎사귀가 마르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4절을 보면, ‘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함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라고 말합니다. 바람에 날아다니는 겨는 3절에서 ‘뿌리가 깊게 심겨진 나무’와 정반대의 표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욕망과 욕심을 채우기 위해 악한 꾀를 부리고, 죄의 편에 서서 마치 천하를 가진 듯이 교만하고 오만한 태도로 살아가고 있지만 그런 사람들의 삶은 실제로는 뿌리가 잘려진 채 흩날리는 겨와 같다는 것입니다.
마지막 5, 6절에도 대조적인 모습이 나오는데, 5절, ‘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들지 못하리로다’ 여기서 의인들의 모임(에다)은 ‘믿음의 공동체’를 의미하는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 할 때 처음으로 사용된 이 단어는 ‘출애굽 공동체’가 혈연적 공동체가 아니라 믿음의 공동체임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단어입니다. 어쨌든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한다고 말하는데 이것은 ‘부끄러워서 얼굴을 들 수조차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6절을 보면,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아바드, 소멸하다)라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의인의 길은 하나님께서 인정(알다)하시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시고 책임을 지시지만, 악인의 길은 하나님의 어떠한 개입도 없이 저절로 소멸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시편 1편 말씀을 통해 우리는 지금 행복한 삶을 누리고 있는지를 생각해 보시고, 어떻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인지를 깨닫는 시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함께 드리는 기도】
1.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않고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않으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않게 하소서.
2. 하나님의 말씀을 주야로 묵상하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3.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